퇴계 이황(1501 음력 11월 25일 - 1570 음력 12월 8일) 과 도산서당
사람이 살면서 제자들을 교육을 시키는데 얼마나 큰 공간이 필요할까? 공간을 크게 나누어 잠자는 방, 공부 방, 부엌등 3칸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도산서당이 잘 보여준다. 단촐한 3칸집이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울려 있는 곳에 세워졌다면 더 할 수 없이 좋을 것이다.
퇴계는 조정의 부름을 받아 여러차례 관직을 맡고 물러서기를 반복하면서 현실 정치의 참혹한 모습을 목도하며, 고향인 안동에 돌아가 서당을 짓고 자연을 벗 삼아 학문을 닦고, 제자를 길러내어 "착한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 을 만드는 것을 평생 꿈꿨다. 50여세에 관직에서 잠시 물러나 고향에 돌아와 이곳 저곳에 서당을 지으며 옮기기를 여러 차례하다가 57세에 현재의 도산서당이 자리한 곳을 발견하고 4년에 걸쳐 3칸짜리 집을 마련한다. 도산 서당을 짓고 나서 평생의 원을 이루었다고 기뻐하였다고 한다. 퇴계는 이후에도 조정의 부름을 받아 잠시 잠시 관직을 받아 국가에 봉사를 하는 가운데도 꾸준히 학문에 정진을 하며 제자들을 양성한다. 퇴계의 기라성 같은 수 많은 제자 가운데 류성룡은 훗날 이순신을 전라 좌수사로 임명하고 끝까지 이순신을 조정의 간신 무리의 음해로 부터 지키고 보호하여 임진왜란을 이겨내는데 공헌을 한다.
(그림 김동욱저 퇴계의 건축관과 도산서당에서 따옴)
퇴계는 조선의 성리학을 집대성한 대가이다. 퇴계의 위대함은 그의 학문적인 업적과 더불어 일상의 삶속에서 출신이나 성별의 차별을 넘어 모든 생명과 인간에 대한 존중을 실천한 삶으로 인해 더욱 빛이 난다. 퇴계는 지와 행의 일치를 주장하였고 몸소 실천한 일관된 삶을 살았다.
퇴계의 손자며느리가 젖이 부족해 시골집에서 아기를 막 출산한 집안의 여종을 보내달라는 부탁을 했지만, "남의 자식을 죽여 내 자식을 살리는 것은 불가하다" 며 거절하였다고 하는 일화에서 인간 존중의 사상이 그대로 드러난다.
21세의 아들이 병으로 돌아가고 어린 나이에 과부가 된 며느리를 측은히 여기다가 재가를 하도록 친정으로 보낸 사연이나, 첫 부인을 상처하고, 사화에 연루되어 폐문의 지경에 이른 권씨 집안의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과년한 딸을 맡아 달라는 부탁을 듣고, 저간의 사연을 다 알고서도 둘째 부인으로 얻어 지극 정성으로 아끼며 살아간 일화등은 퇴계의 인간됨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퇴계의 인간됨을 보여주는 일화를 나눈다.
퇴계의 맏 아들이 당시 5대에 걸쳐 권세 명문가였던 봉화금씨 집안의 며느리를 맞게 되었는데, 상객으로 사돈집을 방문하고 돌아 오자 봉화금씨 집안 사람들이 지체가 낮은 집안과 혼인을 맺었다고 화를 내면서 퇴계가 앉았던 자리를 물청소를 하고 대패로 대청 마루를 밀어 냈다는 소문을 듣고 퇴계 집안 사람들이 그냥 넘어 가서는 안된다고 난리를 부리는 것을 보고 퇴계가 한 말이라고 전해 진다.
"가문의 명예는 문중에서 떠든다고 높아지는 것도, 남들이 헐뜯는다고 낮아지는 것도 아닙니다. 상대가 예의를 갖추지 못했다고 해서 우리도 예를 지키지 않으면 우리가 형편없는 가문이라는 증거가 될 것입니다. 더구나 우리는 며느리를 맞았으니 그런 일로 말썽을 일으키면 새 며느리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것이니 그만 두시지요".
경이적인 경제적인 발전으로 대한민국은 반만년 개국 이래 가장 잘 사는 시대를 맞이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사람들의 심성과 세파는 어떠한가? 도의가 갈수록 땅에 떨어지고 점차 험악해져 가는 세태를 보며 경제적인 풍요와 더불어 자연과 인간을 모두 소중하게 여기고, 서로 존중하며 퇴계가 꿈꾸었던 "착한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무엇일까?
YHK
점점 화가 가득 찬 사회가 되어가는 분위기에 미래가 너무 걱정되고 무섭기까지 하는 요즘입니다.
ReplyDelete위기의식을 가지고 똘똘 뭉쳐 다같이 건강한 사회가 되기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깊이있게 고민해야하는 시기인 거 같아요.
이황선생님같은 훌륭한 정신적인 지도자가 절실하게 그리워지네요.
This comment has been removed by a blog administrator.
ReplyDelete퇴계의 오로한 삶의 궤적을 이처럼 정갈하게 다듬은 글은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ReplyDelete작년 도산서원을 방문하며 받았던 느낌이 휴일 아침 신선하게 다시 다가옵니다.
착한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을 위해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할지 자문해봅니다.
경제적인 풍요를 누리는 국민들이 많아졌지만, 사익보다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걱정하는 사람은 넉넉치 못했던 70년대 보다 줄어든 어지러운 세상이네요. 그래서 더욱 퇴계와 같은 훌륭한 인품을 가진 큰 인물들이 귀하게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퇴계의 인물됨을 매우 명료하게 정리한 글이한 글이 감동적입니다. 감사합니다.
ReplyDelete